"신천지, 승려로 위장해 상황극까지"…사기죄로 고발당해

  • 2020-03-12 21:58

[앵커]

정체를 숨기고 거짓말로 접근하는 이단 신천지로 인해 피해를 입은 사람들이 신천지 이만희 교주를 사기죄와 노동력착취 유인죄 등으로 고발했습니다.

2차 청춘반환소송으로 불리는 이번 소송에는 승려로 위장해 접근한 신천지 신자에게 포교당했던 탈퇴자도 참여해 거짓 포교수법을 폭로했습니다.

오요셉 기자입니다.

[기자]

이단 신천지 탈퇴자들이 신천지측의 종교사기행각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며 엄중한 수사와 처벌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이들은 "정체를 숨긴채 접근해 거짓으로 포교하는 신천지의 이른바 '모략전도' 에 빠져 물적·심적 피해를 입었다"며 신천지 이만희 교주를 사기죄와 노동력착취 유인죄 등으로 고발했습니다.

[신강식 대표/ 전국신천지피해자연대]
"신도들을 노예로 삼아 물적, 심적으로 교주와 그 지도부를 위해 일생을 바치게 하는 종교 사기 범죄일 뿐입니다. 대한민국에서 종교사기로 인한 피해 가족들의 고통과 울음소리가 이제는 끝나야 합니다."

모두 6명이 참여한 이번 소송에는 직접 모략전도를 행했던 '인도자'와 이로 인해 신천지에 빠진 피해자가 함께 참여했습니다.

이들은 고발장에서 불교 신자를 포섭하기 위해 승려로 위장해 접근한 사례도 폭로했습니다.

전국신천지피해자연대가 12일, 청와대 분수대광장에서 개최한 '제2차 청춘반환소송 기자회견'.

 


친인척으로부터 포교당해 신천지에 빠졌던 A씨는 적극적으로 포교 활동을 펼칠 당시, 불교신자였던 B씨를 포교 대상으로 삼았습니다.

A씨는 문화센터 강좌를 통해 알게 B씨와 친분을 쌓으며, 신상정보와 대화내용들을 신천지 내부에 보고하고 치밀한 포교 계획을 세웠습니다.

하지만 불교신자인 B씨가 쉽게 포섭되지 않자 또 다른 신천지 신도를 승려로 위장시켜 상황극을 펼쳤습니다.

[A씨 / 신천지 탈퇴자]
"열매(포교대상자)에 대한 신상정보를 다 파악하고, 돌아가서 매일 저녁마 다 피드백을 했어요. 원래 불교였기 때문에 '스님을 (가장)하면 스님 말은 들을 것이다'해서 스님을 투입하기로 하고, 어떤 내용을 할 건지 같이 짜서 만나는 장소까지 제공하고..."

승려로 위장한 신천지 신도는 우연을 가장해 한 식당에서 B씨에게 접근한 뒤 미리 파악한 정보로 신뢰감을 쌓았고, 이후 자녀가 잘되려면 신천지 교육을 계속 받아야 한다고 속여 B씨가 신천지에 입교하도록 만들었습니다.

[B씨 / 신천지 탈퇴자]
"정말 속 깊은 비밀이라고 생각했던 것을 그 법사님이 맞히시니깐... 저는 원래 불교였잖아요. (가짜 승려가) '다른 신을 모시게 됐는데 그분(인도자)이 귀인이고 더 큰 신을 모시게 됐다. 절대 이것을 놓치면 안된다'라고 강하게 어필했었어요.
주위에서 반응이 정말 용하신 분이구나 분위기를 띄우니깐 저도 자연스럽게 '아 그렇구나' (믿게 됐어요)"

이들은 신천지에 입교한 후 "거짓말 하는 삶이 일상이 됐다"며 "강력한 교리교육에 세뇌된 이후엔 신천지가 하라는 대로 직장을 포기하고 가출할 수 밖에 없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신천지 활동으로 인해 금전적 피해는 물론, 강제 예배 참석과 노동력 착취 등으로 일상이 파괴됐다고 말했습니다.

[B씨 / 신천지 탈퇴자]
"신천지에 가고 나서부터는 핸드폰 패턴을 바꿔야 하고, 수시로 남편 핸드폰을 검사해야 했었거든요. 보고를 해야 하기 때문에.
모든 것을 남편과 거짓으로 하고, 벽을 가리고 있어야 하는 상황밖에 안됐어요. 특히 (신천지와 관련된 교통사고)에서는 남편한테 불리하도록 계속 증언해야 했고..."

신천지 탈퇴자들은 "탈퇴 후에도 심리치료를 받는 등 심각한 후유증을 겪고 있다"며 "이번 소송을 통해 피해 원인 제공자가 처벌을 받고 다른 탈퇴자들이 힘을 얻길 바란다"고 전했습니다.

앞서 전국신천지피해자연대는 서산지역 신천지탈퇴자들과 함께 1차 청춘반환소송을 제기해, 신천지가 신분을 속이고 접근해 포교하는 모략전도가 헌법에 위배된다는 법원의 첫 판결을 이끌어 내기도 했습니다.

전피연은 "신천지의 치밀하고 조직적인 사기 포교활동엔 누구나 피해자가 될 수 있다"며 "종교 사기로 축적한 재산을 환수해 피해자 회복을 위한 공적 기금을 마련하는 등 탈퇴자들의 사회복귀를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CBS뉴스 오요셉입니다.

[영상취재 정선택 김다솔] [영상편집 조세희]

많이 본 뉴스